벨트 2

"내 허리띠를 봐, 나 이런 사람이야~" by 옛날 동양사람들

현재 우리가 입고 보는 옷들은 대부분 서양의 산업혁명과 더불어 대량생산된 규격이다.모든 바지의 허리에는 고리가 있고 허리를 조절하려면 벨트를 사용한다.이것은 서양에 의해 규격화된 것이지만 동양에서도 벨트는 고대부터 쓰였다. 어떤 면에서는 서양보다 더 특색 있게 발전한 동양의 허리띠는 어떤 것일까?   동양에서는 서양과 달리 튜닉 형태로 덮어 입는 옷보다 좌나 우로 여며 입는 여밈옷이 발달했고 또 유목 민족의 영향으로 바지가 발달했다. 여밈 옷이 발달한 이유로는 뚜렷한 사계절로 인한 온도차로 여러 겹을 여며 입는 방식이 선호 된 것과 유교의 영향으로 신체를 단정하게 여미는 것을 미덕으로 본 것이 있다. "창피하다"라는 말이 미쳐날뛸 창猖과 헤칠 피披즉, 미쳐날뛰어 옷이 풀어 헤쳐지는 모습을 두고 한 말임에..

패션에 대하여 2024.08.15

"벨트보단 ㅁㅁㅁㅁ지" by 옛날 서양사람들

현재 우리가 입고 보는 옷들은 대부분 서양의 산업혁명과 더불어 대량생산된 규격이다.모든 바지의 허리에는 고리가 있고 허리를 조절하려면 벨트를 사용한다.이것은 서양에 의해 규격화된 것이지만 서양도 불과 200년 전까지만 해도 벨트를 잘 사용하지 않았다는 재미난 사실이 있다.   고대 그리스로부터 이어져온 고대 로마인들의 대표적인 의복은 따로 소매의 봉제 없이 직사각형의 천에 머리부분만 구멍을 내어 그대로 걸치는 키톤과 소매부분을 봉제하여 동일하게 착용하는 T자형 옷인 튜닉이다. 이 두 옷은 모두 긴 길이와 넓은 몸통 폭을 가지고 있었기에 허리끈으로 몸에 맞게 조여서 입어야 했다. 벨트의 시작은 옷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 아니었다.  중세로 넘어가면서 단순히 옷을 고정하는 역할을 했던 허리끈은 허..

패션에 대하여 2024.08.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