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션에 대하여

지속가능성 속 비슷한 듯 다른 개념들 톺아보기

bangju 2024. 9. 8. 10:45

 

이제는 우리에게 너무 익숙한 개념인 Sustainability, 그러나 Zero-Waste, ESG, Eco-Friendly 등 다양한 용어로 여기저기에 사용되는데 우리는 그 미묘한 차이를 모르는 경우가 많다.

 

패션 디자이너로서도 패션 산업에서 쓰이는 수많은 친환경 용어들을 적재적소에 쓰기 위해서는 각각의 의미와 포함관계를 알 필요가 있다. 따라서 한 번 제대로 정리해 보겠다.

 

Eco-Friendly(친환경) : 2010년대까지 가장 대표적으로 쓰였던 말인데 말 그대로 환경을 친구처럼 생각해 환경을 오염하지 않고 환경을 보호하는 것이다. 작은 부분들에서 기존의 방식을 개선하고 자연의 방식을 모방하는 것을 실천했지만 산업 전반적으로 체계성과 효율성이 뒷바침되지 않아 헤프닝으로 끝나는 경우가 많았다.

 

 

Sustainability(지속가능성) : 친환경을 추구할 때 산업적으로 정책적으로 체계성과 효율성을 고려하면서 국가와 기업의 기존의 성장은 유지하고 또 자연환경도 지속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지속가능성'이다. 여기서 본격적으로 기업과 관련된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와 Carbo Neutrality(탄소 중립)의 개념이 등장했다. 사회적으로는 Circular Economy(순환 경제)라는 정책과 Slow Fashion(느린 유행)이라는 철학이 대두됐다. 또한 여기에는 Fair Trade(공정 무역)라는 노동자 인권과 관련된 내용도 추가되면서 사람도 환경의 일부로 고려대상이 됐다.친환경도 지속가능성에 포함되는 개념으로 지속가능성은 가장 큰 범주의 개념으로 볼 수 있다.

패션 산업에서도 원단 제작 과정에서 지속가능성을 고려한다면 수 많은 하위 범주들이 구성된다.

1. 재료 선택

- 친환경 원료 사용: 화학물질 사용을 줄이거나 피하는 원료 선택

유기농 섬유: 화학 비료와 살충제를 사용하지 않은 유기농 면, 유기농 리넨, 유기농 대마

대나무 섬유: 재생 가능한 자원으로 빠르게 자라는 대나무를 사용

친환경 모달과 텐셀: 재생 가능한 목재 펄프에서 유래한 섬유

- 재활용 섬유 사용: 이미 사용된 원단이나 제품에서 원료를 추출해 재사용

재활용 폴리에스터: 폐 플라스틱 병 등을 재활용해 만든 섬유

재활용 나일론: 어망이나 산업용 나일론 폐기물 등을 활용.

 

2. 친환경 제조 공정

- 저에너지 공정: 에너지 소비를 줄이는 제조 과정

물 소비 절감 기술: 물을 적게 사용하는 제조 공정이나 물을 재사용하는 시스템 (예: 폐수 처리 시스템)

저탄소 제조 공정: 공장에서의 탄소 배출을 줄이는 기술을 도입

- 친환경 염색 공법: 화학 물질 사용을 줄이거나 자연 염색을 활용

천연 염료: 화학적 염료 대신 식물성, 광물성 염료 사용

무수염색(Dry Dyeing): 물을 거의 사용하지 않는 염색 방식

 

3. 폐기물 관리

생산 과정에서의 자투리 원단 활용: 자투리 원단을 재활용해 새로운 제품을 만들거나, 폐기물을 최소화

업사이클링: 남은 원단이나 버려진 섬유를 재가공해 새로운 디자인을 창출

제로 웨이스트 디자인: 자투리 원단이 발생하지 않는 패턴과 설계를 통해 섬유 낭비를 최소화

 

4. 소재의 수명 연장

내구성 높은 섬유 선택: 오래 사용 가능한 고품질 소재 선택

내구성 강화 처리: 섬유의 수명을 늘릴 수 있는 보호 처리를 통해 제품을 오래 사용할 수 있게 제작

다목적 섬유 개발: 다양한 기후나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다목적 섬유 개발

 

5. 바이오 기반 소재

생분해성 소재: 자연에서 쉽게 분해되는 섬유 선택

바이오폴리머: 옥수수 전분, 카사바 등에서 추출한 소재를 활용한 생분해성 섬유

생분해성 나일론, 폴리에스터: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자연적으로 분해되는 소재로 제품 제작

 

6. 지속 가능한 공급망 관리

투명한 공급망: 원료부터 완제품까지 모든 단계에서 투명성을 보장하며, 윤리적 생산이 이루어지도록 관리

공정무역 섬유: 생산자에게 정당한 임금을 지급하고, 노동 조건이 보장된 섬유 사용

로컬 생산: 지역 내에서 재료를 조달하고 생산함으로써 운송에 따른 탄소 배출을 줄임

 

7. 혁신 기술 도입

3D 프린팅: 패턴을 정밀하게 맞추어 원단 낭비를 줄이는 방법

디지털 염색: 디지털 기술을 통해 불필요한 염료 사용을 줄이고 정밀한 디자인을 구현

 

 

국가와 기업차원에서 실천할 수 있는 정책과 경영 부분의 개념들도 있다.

ESG(Environmental-환경, Social-사회, Governance-지배구조) : 기업이 성장의 목적을 달성하면서도 친환경 경영과 사회적 책임, 투명한 지배구조를 실천하는 것을 의미한다.

가장 우수하다고 평가되는 기업사례인 Patagonia는 98% 재활용 소재를 사용해 제품을 제작하고 FairTrade 인증된 유기농 면을 사용하며 고객에게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는 고품질 제품을 제공하는 데 중점을 둔다. 제품 수명 연장을 위한 "Worn Wear" 프로그램을 통해 수리 및 재사용을 장려하기도 한다.

 

 

Fair Trade(공정 무역) : 기업이 제품을 생산하고 유통할 때 노동자와 생산자에게 공정한 임금과 노동 조건을 보장하는 무역 체계. 아동 노동 착취를 금지하는 것도 포함되어 있다.

 

 

Carbon Neutrality(탄소 중립) : 탄소인 온실가스 배출량을 최대한 줄이고 남는 탄소는 산림을 통해 흡수하거나 포집방법을 통해 제거하면서 최종적으로 탄소의 순배출량을 0으로 만들기 위한 개념으로 Net-Zero, Carbon-Zero 라고도 한다. 그러나 이것은 2015년 파리기후협정 이후 꾸준히 시행된 결과, 국가와 기업의 성장을 과도하게 저해하고 전통적 에너지 수급에 불균형을 초래한다는 비판에 직면하고 있다.

 

 

 
Circular Economy(순환 경제) : 가능한 한 오랫동안 기존 재료 및 제품을 공유, 수리, 개조하고 폐기물을 재활용하는 생산 및 소비 모델이다. 자원채취(take)-대량생산(make)-폐기(dispose) 중심의 기존 선형 경제의 대안으로 등장했다. 빠른 유행을 따라 저렴하고 내구성이 약한 옷을 쉽게 입고 버리는 것이 아닌 "질 좋은 옷을 유행과 상관없이 오래입는다" 라는 Slow Fashion(느린 유행)의 철학도 이와 함께 생겨났다.

한국에서는 패션분야에서 "아름다운가게"가 매우 유명한 성공적 사례이다. 개인이나 기업으로부터 의류와 생활용품을 기부받아 판매하는데, 그 수익금은 취약 계층 지원 등 사회적 목적을 위해 사용된다. 이를 통해 물건의 수명을 연장하고,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순환 모델을 실현하고 있다.

 

 

그 다음으로는 좀 더 구체적으로 그 실현방법을 논한 Up-Cycling, Re-Cycling, Zero-Waste, Biofabrication, Re-Generation, Re-Plenish 등이 있다.

 

우선 사람들이 가장 많이 헷갈려하는 것이 Up-Cycling과 Re-Cycling의 차이다.

Up-Cycling(업사이클링) : 기존 제품이나 폐기된 소재를 그대로 활용하되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는 방식. 독창적이고 예술적인 디자인을 통해 새 생명을 불어넣는 경우가 많다. 

Re-Cycling(리사이클링) : 사용된 소재를 분해하여 다시 원료로 가공해 새로운 제품을 만드는 방식. 창의적인 재생공정을 통해 기존의 제품들과 이질감 없이 동일한 결과물을 만들어 내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둘은 같은 듯 미묘하게 다르다. 차등을 둘 순 없겠으나 리사이클링이 조금 더 많은 공정이 필요할 수 있고 업사이클링은 반대로 조금 더 효율적일 수 있다.

 

(좌)Marine Serre, T-Shirts Upcycled Dress / (우)Marine Serre, Silk Scarf Upcycled Dress

업사이클링의 대표적인 예시로는 Marine Serre에서 폐기된 의류, 빈티지 직물, 중고 섬유, 가정용 섬유 제품(커튼, 테이블보 등)을 수집하고 사용된 직물의 품질과 상태를 평가하여 업사이클링할 수 있는 재료를 패치워크로 제작한 드레스가 있다. 프로젝트성 제작이 아닌 실제 제품으로 출시하면서 매번 고유한 형태의 의류가 만들어지는 창의적인 제품생산의 예시가 되었다.(하나밖에 없는 것은 아닌 걸로 봐서 특정 수량이상의 재고가 확보되는 폐의류를 가지고 작업을 하는 것 같다.)

 

Adidas x Parley, UltraBOOST, 2017
리사이클링의 대표적인 예시로는 Adidas x Parley(아디다스 x 팔리)의 해양 플라스틱 운동화가 있다.

Adidas가 해양 환경 단체 Parley와 협업하여 해양에서 수거한 플라스틱을 사용해 운동화를 제작했다. 해양 플라스틱을 먼저 세척 및 분류한 후 이를 분쇄해 실로 만들고 이 실을 사용해 신발의 니트 갑피를 제작하며 신발 전체에 걸쳐 리사이클된 재료를 사용한다.

 

 

 
Zero-Waste(낭비 최소화) : 모든 제품이 재사용될 수 있도록 장려하며 폐기물을 방지하는 데 초점을 맞춘 원칙. 크게보면 정책적인 단계에서 작용될 수도 있지만 조금 더 구체적으로는 제품 생산과정에서 나오는 폐기물을 가지고 또 다른 제품을 만드는 방식으로 많이 실천되고 있다. 예시로 Zero Waste Daniel 이라는 뉴욕 기반의 브랜드는 의류 제작 시 발생하는 자투리 원단을 활용하여 또 다른 새로운 옷을 만든다. 제작 과정에서 생기는 모든 폐기물을 다시 활용하는 것이 브랜드의 철학이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Rothy's라는 브랜드가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해 신발을 제작하여 제작 과정에서 폐기물이 전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있다.

 

 

Growing Fungi for Biofabrication
 
Biofabrication(생물 원단) : 기존의 원단을 직조하는 방법이 아닌 생물학적 과정을 이용해 지속 가능한 섬유를 만드는 혁신적인 방법. 아래에 다양한 연구 개발의 사례가 있다.

 

1. 바이오 기반 가죽 대체품

- Modern Meadow의 Zoa는 유전자 조작된 콜라겐 단백질을 이용해 만든 바이오 기반 가죽이다. 동물 가죽을 모방하지만, 동물성 성분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적다.

- MycoWorks와 Bolt Threads는 버섯의 균사체를 이용해 가죽 대체재를 개발했다. 이들 제품은 가죽처럼 내구성이 뛰어나면서도 100% 생분해가 가능하며 자원 소모가 적다. Stella McCartney 같은 명품 브랜드가 이 소재를 활용하고 있다.

 

2. 합성 거미줄 실크

Bolt Threads는 Microsilk라는 합성 거미줄 실크를 개발했다. 이는 효모를 발효시켜 생산한 실크로 자연 거미줄의 강도와 유연성을 재현했다. 이 소재는 생분해가 가능하며 Adidas와 Stella McCartney와 같은 브랜드와 협업해 사용되었다.

 

3. 해조류 기반 섬유

AlgiKnit은 Kelp(켈프)라고 불리는 해조류를 사용해 내구성이 높고 생분해 가능한 실을 만들었다. 이 실은 폐기물 최소화 공정을 통해 생산되며, 의류, 신발, 가정용 직물에 활용된다.

 

4. 박테리아 셀룰로오스와 효모 기반 소재

Suzanne Lee는 Biocouture라는 개념을 선도하며 박테리아와 효모를 이용해 셀룰로오스 기반의 소재를 '재배'하는 방식을 개발했다. 이 기술은 콤부차 가죽(Kombucha leather)이라고 하며 발효 과정을 통해 가죽과 유사한 소재가 생산된다.

 

5. 재활용 섬유

Evrnu의 NuCycl 기술은 버려진 의류를 새로운 섬유로 변환하는 시스템이다. Adidas와 Stella McCartney와의 협업으로 친환경 후디와 드레스가 제작되었다​.

 

 

 
Re-Generation(재생)과 Re-Plenish(보충)는 거의 같은 상호보완적 개념이라고 보면 된다.

 

Re-Generation(재생) : 기존의 지속가능성 개념을 넘어서 생태계를 복원하고 생물 다양성을 회복시키는 방식으로 자원을 생산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단순히 자원을 절약하는 것을 넘어 자연과 조화를 이루어 토양, 물, 공기 등의 환경 자원을 다시 생명력 있는 상태로 되돌리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재생 농업

패션 제품의 원재료를 재생 농업을 통해 생산한다. 예를 들어, 유기농 면화 재배 시 화학 비료나 살충제를 사용하지 않으며 토양의 건강을 회복시키는 방식으로 작물을 재배한다. 이 방식은 토양의 탄소 흡수 능력을 높이고 물 보존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다.

 

Re-Plenish(보충) : 자연 자원을 지속적으로 사용하면서도 그것을 보충하고 유지하는 개념을 의미한다. 이는 자원의 지속가능성을 보장하기 위한 방법으로 자원이 고갈되지 않도록 관리하는 데 중점을 둔다. 특히, 천연 섬유와 같은 원재료를 사용하는 패션 브랜드들은 이를 생산하는데 소비되는 토양과 물을 보충하기 위한 방법을 찾고 있다. 

- 윤작 및 재배 순환 시스템

같은 작물을 계속해서 재배하면 토양이 고갈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다른 작물을 윤작하거나 일정 기간 동안 농작을 멈추어 자연이 스스로 회복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면화나 아마를 수확한 후에는 콩이나 클로버와 같은 질소를 보충하는 작물을 심어 토양을 회복시킬 수 있다.

 

패션에 대한 또 다른 이야기들 아래의 채널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주2회 실제 현업 디자이너가 들려주는 패션이야기가 궁금하다면 구독해주세요.

https://naver.me/FlZhlO6Z

 

패션대홍수 : 네이버 프리미엄콘텐츠

패션 히스토리, 브랜드 스토리, 디자이너 인스퍼레이션을 정리한다. 패션대홍수가 와도 살아남아야 하는 그런 유산들을 말이다. 물론 패션위크 등 각종 뉴스도 반영한다.

contents.premium.naver.com